#About
주어진 바로 가기 파일들 중 가리키는 대상이 이동식 디스크(Removable Disk)에 저장된 원본 파일의 이름을 알아내시오.
단, 파일명은 'EUC_KR' 인코딩을 사용한다.
(확장자 및 띄어쓰기 포함, 소문자로 작성)
#Solution
[그림 1] - 문제 파일 확인
문제 파일을 확인하면 10개의 링크 파일을 확인할 수 있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이동식 디스크에 저장된 원본 파일 이름을 구하는 것이다
링크 파일은 포렌식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많이 담기는 아티팩트에 해당되며, 링크 파일에서 추출가능한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Volume ID
링크 대상이 위치한 볼륨의 식별자
2. DriveType
링크 대상이 위치한 드라이브 형식
3. DriveSerialNumber
링크 대상이 위치한 드라이브의 시리얼 번호
4. MAC Address
링크 대상이 위치한 PC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5. User Account
링크 대상이 위치한 PC의 사용자 계정
6. LocalBasePath
링크 대상 경로
7. Lnk File Creation, Access, Write Time
링크 대상의 생성, 접근, 쓰기 시간
8. Target File Creation, Access, Write Time
원본 파일의 생성, 접근, 쓰기 시간
문제를 풀기 위해 단순히 링크 파일에 담긴 정보를 추출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구를 사용해도 되지만, 도구를 사용한다면 사용에 앞서
해당 도구에서 어떻게 정보를 추출하고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에 대한 기본이 되는 링크 파일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하지만 단순 문제 풀이 포스팅에 담기엔 복잡한 링크 파일의 구조를 아래의 MS 공식 문서를 참조하길 바란다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dd871305.aspx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링크 파일의 구조 분석 도구인 LNK Parser를 이용했으며 도구의 출처는 아래와 같다
http://forensic.korea.ac.kr/tools/lnkparser.html
[그림 2] - LNK Parser
위 도구를 통해 8.lnk 파일의 DriveType이 문제에서 가리키는 DRIVE REMOVABLE임과, 원본 파일 이름인 섹터 연락망.hwp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NK Parser가 아닌 010 Editor을 통해 아래와 같이 파싱된 링크 파일에서 DriveType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010 Editor를 이용한 파일의 구조 분석은 각 파일이 가지는 확장자에 맞는 Template을 다운로드 후에 사용가능 하다
[그림 3] - 010 Editor를 이용한 구조 분석
파싱된 DriveType은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오프셋 0x015~0x018의 값인 0x00000002라는 값을 가지며 각 값이 의미하는 바는 아래를 참조하길 바란다
[+] DriveType
[그림 4] - DriveType
'Warg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esendo] LNK Problem 03 (0) | 2017.11.08 |
---|---|
[Cresendo] LNK Problem 02 (0) | 2017.11.08 |
[Cresendo] EventLog Problem 03 (0) | 2017.11.06 |
[Cresendo] EventLog Problem 02 (0) | 2017.11.06 |
[Cresendo] Event Log Problem 01 (0) | 2017.11.05 |